능동순종 5

능동 순종의 논쟁에 관한 문제점들을 살펴 보자 4

능동순종을 부정하는 편에서 주장하는 대표적인 스콜라주의 문제로서 "믿음 고백"이라는 오류들에 대해서 살펴 본다. 이는 지적인 변화가 없이 또한 성경이 말하는 믿음의 의미와 다른 감정적이고, 미신 종교의 주문형식의 "믿음 고백"의 문제점을 살펴 본다. 스콜라주의는 믿음의 의미를 "지식, 동의, 신뢰"라고 한다. 그러나 성경은 로마서 10:10절에서 "사람이 마음으로 믿어 의에 이르고 입으로 시인하여 구원에 이르느니라" 라고 하지만 14절에서 믿음의 절차와 순서를 역순으로 명확하게 밝혀주고 있다. "그런즉 그들이 믿지 아니하는 이를 어찌 부르리요 듣지도 못한 이를 어찌 믿으리요 전파하는 자가 없이 어찌 들으리요" 이를 역순으로 보면 "전파-들음-믿음" 순이다. 그렇다면 복음 전파의 지식이 사람의 마음에서 역..

능동순종 2023.08.11

능동 순종의 논쟁에 관한 문제점들을 살펴 보자 3

개혁주의에게 필요한 인간론 분야에서 "인간의 자아와 정체성"을 이해하지 않으면 결코 스콜라주의를 벗어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올바른 기독교를 세울 수 없게 된다. 그동안 주님께서는 2천년동은 은혜로 교회를 받아들여 주셨으나. 종말에 이른 이 시기에는 더이상 기다리실 수 없어서 이 지식들을 우리에게 주신 것으로 보인다. 사람과 율법과의 관계를 이해하려면 반드시 새언약(겔 36:26~27, 11:19~20, 렘 31:33~34, 히 8:10~11, 10:16)의 의미를 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https://youtu.be/sKDxllSVfRM

능동순종 2023.08.11

능동순종의 논쟁에 관한 문제점을 살펴 보자 2

"율법의 의"란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의란?" 이런 문제부터 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스콜라주의의 특징은 "의미와 개념을 추상적으로 적용"하고 인간의 영혼을 아리스토 텔레스의 "영혼의 기능론"으로 적용하는 것이 쉽게 드러나는 일반적인 구분 방법이다. 성경은 "율법의 의"를 요한 복음 16:10절에서 명확하게 정의해주시는데 "내가 아버지께로 가니"라고 하셨다. 그런데 스콜라주의의 의미는 "의 란?" 옳고 그름, 정당한 것, 바른것, 옳음으로 이해하려고 한다. 이점에 관하여 살펴 보자. https://youtu.be/zrrgD3Tg5Ss

능동순종 2023.08.11

능동순종의 논쟁에 관한 문제점을 살펴 보자 1

한국의 장자교단이라고 스스로 자칭하고 있는 합동에서 그리스도의 능동순종은 성경적으로 합당한가? 라는 논쟁을 하였다. 이니 공청회는 다 마쳤고 이제 평가만 기다리고 있는 것같다. 아마도 총회에서는 어떤 결론을 내릴 수 밖에 없는데 이로인하여 또한번의 아픔을 겪어야 할 것 같다. 이 논쟁의 문제점은 스콜라주의가 자기 모습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상황인데 개혁주의자라고 스스로 자칭하면서 이를 간과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스도의 능동 순종의 문제는 "그리스도께서 율법의 의를 행하셨느냐?"라는 문제를 제기한 것입니다. 이 주장이 청교도들의 사보이 선언 제 11문항 "Of Justfication, 에서 분명하게 밝힌 "but by imputing Christ's active obedience to the who..

능동순종 2023.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