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 11. 결론 먼저 필자는 본 내용을 연구함에 있어서 성경 해석에 있어서 올바른 방법 제시한다. 그것은 어느 누구나 성경이 확실히 성령의 감동에 의해서 기록하였다는 사실을 믿고 받아들이기만 한다면, 성경 안에 충분한 증거들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현대의 .. 방언연구 2006.07.19
마가복음의 방언 10. 마가복음의 방언 필자는 여기에서 마가의 언급한 방언을 언급하려고 한다. 마가의 서신은 베드로와 관계가 있고 신약 성경 가운데 유일하게 마가가 방언에 관해서 언급한다. 마가복음 7:33, 35에서 나타나는 방언과 동일한 단어 γλώσσης αύτοΰ 는 혀로 번역되고, 16:17에서.. 방언연구 2006.07.19
바울과 누가 9. 바울의 방언과 누가의 방언 앞에서 언급하였기 때문에 간략하게 하려고 한다. 고린도 전서 나타난 바울의 방언은 주관적인 체험을 강조하는 사람들의 변증 구절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앞에서 누가는 방언을 신비적인 언어이며 언어의 장벽을 해소하는 놀라운 성령의 역사임을.. 방언연구 2006.07.19
주관적 체험 8. 주관적 체험 누가의 언어적 표현에 따르면 사도들은 히브리말 곧 갈릴리 사투리로써 복음을 전했다. 이것이 방언의 현상이었고, 이 말은 지역적 언어를 분명히 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 언어는 신기한 언어였고 분명히 사람들끼리 통용할 수 있는 언어였다. 그 언어가 신기한 언어.. 방언연구 2006.07.19
고린도서의 방언 7. 고린도서 방언 1) 고린도 교회의 방언문제 앞에서, 바울 사도는 고린도에서 복음을 전파하고 교회를 세우는 동안 성령 세례에 관한 사실에 대해서는 중요성을 두고 언급하지 않았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그런데 그가 고린도에 보낸 두 번째 서신인 고린도 전서에는 성령의 은사에 관한 .. 방언연구 2006.07.19
방언의 필요성 6. 방언의 필요성 1) 예루살렘에서의 방언의 역사 필자는 “방언”에 관한 주제로 말하려는 것이지 “성령 세례”에 관해서 말하지 않는다.1) 앞에서 방언이 이방인들과 깊이 관계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넬료의 집을 통해서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예루살렘과 에베소.. 방언연구 2006.07.19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5. 아굴라와 브리스길라(사도행전 18:1-2) 1) 아굴라 부부와 바울 아굴라와 브리스길라가 어떻게 방언과 관계 있는가? 라고 묻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아굴라와 브리스길라는 고린도 교회의 방언에 관한 문제를 해결해 주는 열쇠 역할을 한다. 이들을 바울이 고린도 지역에서 전도할 때 만난.. 방언연구 2006.07.19
성령 받은자에게 나타나는 현상 4. 성령 받은 사람의 현상 성령을 받은 사람들이 방언을 말하고 예언을 말하기도 했다. 누가는 세 곳에서 방언이 나타나는 것을 성령 강림과 동일한 현상이라고 말하고 있다. 다만 예루살렘에서는 사도들과 120문도들에게 나타난 역사임에 비하여 고넬료의 가정이나 에베소에서는 평범한 .. 방언연구 2006.07.19
사도행전에서의 방언 3. 사도행전에서의 방언 사도행전을 기록한 누가는 주님의 제자들 중의 한 사람도 아니다. 더군다나 그는 주님의 혈족과 동일한 유대인도 아닌 이방인이다. 만약 누가가 이방인이라는 사실이 유대의 지식인들에게 밝혀지고, 그들에게 누가의 글이 전달되었다거나, 읽혀졌다면, 이방인의 .. 방언연구 2006.07.19
누가가 말하는 방언 2. 누가가 말하는 방언. 1). 어원 연구 방언 Υλωδσαιδη, (tongue, 언어 말, language, 혀의 의미로, 막 7:33, 35, 눅 1;64, 16:24, 행 2:3, 롬 3:13, 14:11, 고전 14:9, 약 1:26, 3:5, 6:8, 벧전 3:10, 요일 3:18, 계 16:10, 방언의 의미, 막 16;17, 행 2:4, 11, 10:46, 19:6, 고전 12;10, 28, 30, 13:1,8, 14:2,4,5,6,13, 14, 18,19, 22,23,2.. 방언연구 2006.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