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주의

복음주의와 개혁주의의 믿음과 회심의 비교

생명있는 신앙 2025. 4. 9. 14:42

1, 믿음에 관한 비교

구분 개혁주의 복음주의
정의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로 주어지는 선물로서 중생에서 나타나는 것. 개인이 자유의지로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하며, 구원의 필수 조건으로 작용함.
특징 - 하나님께서 예정하신 자들에게만 나타나는 반응.
- 전적 타락으로 인해 타락한 본성으로는 믿음을 가질 수 없음.
- 성령에 의해 마음에 심겨진 복음의 직접적인 반응.
- 복음을 듣고, 회개와 결단을 통해 개인이 하나님께 나아가는 행위.
- 모든 사람에게 열린 구원의 길.
초점 10:13~17”에 따라 복음이 사람의 마음에 심겨지고 사람으로 하나님을 향하여 반응, 인간의 믿음의 결단책임을 강조.
구원의 관점 구원의 원인이 아니라, 구원받은 증거로 나타남. 구원의 조건으로, 인간이 예수님을 영접함으로써 구원이 주어진다고 봄.
성경적 근거 - 에베소서 2:8-9: "너희는 그 은혜로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 이것은 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 - 요한복음 3:16: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누구든지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2, 회심에 관한 비교

구분 개혁주의 복음주의
정의 마음에 심겨진 복음에 의해 중생된 정체가 자아를 통해 의식하고 타락한 본성을 돌아 봄, 사람이 자유의지로 죄를 깨닫고, 예수님을 구주로 영접하며 삶을 변화시키는 것.
특징 - 타락한 본성은 전적으로 타락했기에 스스로 회심할 수 없음.
- 성령께서 마음에 심어주신 복음이 성장하여 자아에서 의식을 갖는 것.

- 자발적인 믿음의 고백회개를 통해 이루어짐.
- 누구든지 복음을 들으면 회심 가능.
과정 - 성령이 복음을 심어 중생케 함,
- 복음이 성장하여 자아의식에서 깨우침으로 나타남.
- 복음을 듣고, 죄를 자각한 후 개인의 결단으로 예수님을 영접함.
- 회심 이후 지속적인 믿음 생활과 성장 강조.
초점 하나님의 주권적인 구원 사역의 결과로 이루어지는 새 생명의 반응. 인간의 책임적 선택과 결단에 의해 구원이 시작됨.
성경적 근거 - 8:10 “ 내 법을 그들의 생각에 두고 그들의 마음에 이것을 기록하여” (31:33, 36:26~27, 11:19~20)
사도행전 13:48: "영생을 주시기로 작정된 자는 다 믿더라."
- 요한복음 6:44: "아버지께서 이끌지 아니하면 아무도 내게 올 수 없으니."
- 마가복음 1:15: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
- 로마서 10:9-10: "네가 만일 입으로 예수를 주로 시인하며 마음에 하나님이 그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것을 믿으면 구원을 받으리라."

 

3, 요약 비교

항목 개혁주의 복음주의
믿음 성령께서 마음에 심으신 복음이 사람의 자아로 의식하여 하나님께 반응.(*지식, 동의 신뢰의 다른 표현) 구원의 조건으로서 인간의 결단과 믿음이 중요.
회심 성령께서 복음을 마음에 심어주셔서 중생케 하여, 복음이 성장하여 자아를 통해서 타락한 자신의 본성을 깨우침. 개인의 자발적인 회개와 믿음의 결단.
구원의 주체 성령 하나님의 절대적 은혜와 예수 그리스도의 선택 강조. 인간과 하나님: 인간의 반응과 책임 강조.
구원의 보편성 선택받은 자에게만 구원과 믿음이 주어짐. 누구든지 복음을 듣고 믿으면 구원받을 수 있음.

 

결론

개혁주의는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와 성령의 사역을 강조하며, 복음의 역동적인 반응으로 말미암은 믿음과 회심이 하나님의 전적인 역사로 이루어진다고 봅니다.

복음주의는 인간의 자유의지와 결단을 강조하며, 누구든지 복음을 믿고 회심함으로 구원에 이를 수 있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