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교도회심준비론 5

3. 뉴 잉글랜드 청교도와 조나단 에드워즈

1) 언덕 위의 도시 (A City upon a Hill)  스코틀랜드 장로교는 제임스 1세(James I, 재위 1603~1625)가 잉글랜드 교회를 국교회에서 장로교로 개혁해 줄 것을 기대했으나 왕권신수설(왕의 권력은 신에게서 나온다는 이론)을 강조하고, 청교도(Puritans)들은 성공회의 가톨릭적 요소를 철저히 배제하고 교회를 더욱 엄격하고 순수하게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하자 이를 위협으로 간주하고, 성직자들에게 국교회 의식을 준수하겠다는 서약을 강요했다. 청교도들은 이를 따르지 않았고, 뒤를 이어 왕이된 찰스 1세는 벌금을 부과하거나, 거부한 성직자들은 해임하고, 투옥했다. 공식적인 예배를 시행할 수 없는 청교도들은 비밀리에 집회(conventicles)를 가지자 이를 금지하고, 적발되면 강제 해..

4, 성경적 회심준비론

4, 성경적 회심 준비론 (Biblical Preperation) 1. 회심의 주요 요소잉글랜드에서의 회심은 단순히 신앙 경험으로서 양태였고, 메사츄세츠에서의 회심은 언약적 할례와 같은 표시였으며, 조나단 에드워즈의 회심은 개인의 구원을 개혁 신학적 관점에서 설명하려 했다. 신앙에 있어서 회심은 절대적 요소인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회심을 이루는 과정이 필요한가? 라는 문제는 별개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잉글랜드 교회개혁은 정치적 상황에 의해 마르틴 루터와 존 칼빈의 종교개혁 사상을 대학들에 일임하여 전통적 스콜라철학과 인문주의 사상을 통해서 재해석하여 개혁파 스콜라가 설정 되어진 것으로 확인하였다. 정치적 상황에 따라 국왕을 중심으로 하는 주교제를 채택한 [국교회]는 성례전(sacraments)..

2, 개혁파 스콜라적 회심준비론

2, 개혁파 스콜라적 회심준비론  헨리 8세의 수장령 선언 후 잉글랜드 교회는 로마 카톨릭으로부터 독립하고 개혁이 본격화되자 루터와 칼빈의 종교개혁사상 받아들여 전통적인 스콜라철학과, 인문주의 사상으로 해석하여 교회를 개혁을 전개하였다. 당시의 사회는 유럽전체를 휩쓸고 지나간 흑사병으로 인해 인구 1/3 감소되었고, 도시에서는 양모의 산업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농촌혁명으로 불릴만한 인클로져 운동(Enclose Movement)이 일어나 카톨릭 교회의 윤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봉건적 공동체 농업 체제가 붕괴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도시로 이주해야 했고 중산층 이하 농민들과 저소득 도시민들은 자신들도 의식하지 못한 체 자연스럽게 종교 개혁사상이 가져온 자본주의 체계로 흡수되어, 각 개인의 신앙이 카톨릭의 ..

4) 청교도혁명과 잉글랜드 회중파 몰락

4) 청교도혁명과 잉글랜드 회중파 몰락유럽은 1617년 로마가톨릭을 신봉한 합스부르크가의 페르디난트 2세가 보헤미아 왕국의 국왕으로 즉위하자 이듬해 보헤미아에서는 반란이 일어났다. 1619년 개신교 제후동맹이 주도하던 보헤미아 의회는 페르디난트 2세를 축출하고 새 국왕으로 프리드리히 5세를 선출하였다. 그러나 페르디난트 2세는 신성로마제국 의회에서 제국의 황제로 선출되었기 때문에 종교를 명분으로 둘 사이의 갈등은 결국 개신교와 카톨릭간의 30년 전쟁으로 비화하였다.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는 자신의 왕세자 찰스 1세와 스페인의 왕녀 마리아 아나의 혼사를 추진하여 이를 장기화 된 전쟁의 평화 조약을 위한 구실로 삼고자 하였다. 1621년 소집된 잉글랜드 의회는 스페인과 가톨릭에 대항하는 해군의 참전과 잉글랜..

청교도 회심준비론 1

문제제기최근에 "능동적 순종과 회심준비론"에 관한 신학적 논쟁이 있었다. 회심준비론은 청교도 의 그리스도인 신앙 양태로서 매우 중요한 교리이지만 14세기 흑사병이 가져온 “인클로져 운동(Enclosure Movement)”으로 인한 경제체제 변화와 종교개혁의 여파로 로마 카톨릭의 봉건체제와 자본주의체제의 충돌로 인한 결과적 과정에서 조직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에 논의된 과정을 살펴보면 회심 준비론의 용어 "정의"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상이한 관점으로, 청교도의 “회심 준비론”(preparation)과 알미니안주의와 로마가톨릭의 “준비주의”(preparationism)의 대립이고, 두 번째로는 회심 준비론이 주로 회중파 교회에서 나타난 신앙형태에서 교회 조직의 정치구조에 대한 배타적 관점이 논쟁을 부..